pkw153002 님의 블로그

철강을 주제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 2025. 4. 24.

    by. pkw153002

    목차

      자동차 산업은 오늘날 가장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중 하나입니다.
      전기차의 등장, 자율주행 기술, 탄소중립 규제, 경량화 경쟁 속에서
      자동차 제조에 사용되는 철강의 비중과 기술력 또한 진화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무거운 철 덩어리’로만 인식되던 철강이, 이제는 가볍고 똑똑한 재료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산업에서 철강이 차지하는 비중, 그리고 최신 철강 기술을 중심으로,
      왜 철강이 여전히 자동차 산업의 중심에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를 상세히 소개합니다.


      1. 자동차에 철강이 쓰이는 이유

      1-1. 기본적인 강도와 안전성

      철강은 자동차에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입니다.
      자동차 차체는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충격을 흡수하고, 구조적 강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곧, 인장강도와 인성이 높고 변형에 강한 철강이 필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1-2. 경제성

      알루미늄, 탄소섬유 등 고급 경량 소재도 있지만, 가격 측면에서 철강은 여전히 압도적으로 경제적입니다.
      특히 고강도강(HSS), 초고강도강(AHSS) 기술의 발달은 기존 철강 대비 무게를 줄이면서도 성능은 높일 수 있게 했습니다.

       

      1-3. 용접성과 가공성

      차량 생산 공정에서 철강은 프레스, 용접, 접합 등에서 효율이 높습니다.
      자동차 제조사의 설비와 노하우가 이미 철강을 중심으로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소재를 전환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필요합니다.


      2. 자동차 한 대에 철강은 얼마나 쓰일까?

      통계에 따르면, 승용차 1대당 평균 900kg의 철강이 사용됩니다.
      이는 전체 차량 무게의 약 **60~68%**를 차지하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경량화 요구에 따라, 이 수치는 40~50%대까지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차량 종류철강 비중
      내연기관차 약 65%
      하이브리드차 약 55%
      전기차 약 45~50%

      하지만 철강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기능 철강재의 사용량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자동차 산업에서 철강이 차지하는 비중과 최신 기술
      자동차 고기능 철강재

       


      3. 자동차용 철강의 주요 부위별 적용

      차량 부위적용 철강재역할
      차체 프레임 고강도강(HSS), 초고강도강(AHSS) 충돌 안전성, 구조 지지
      도어/보닛/루프 연강, 고연성강 경량화 및 성형성
      서스펜션 중탄소강 내구성, 인성
      배기 시스템 스테인리스강 내열성, 내식성
      휠, 브레이크 주강 고강도, 내열성

      4. 최신 철강 기술 트렌드

      4-1. 초고강도강(AHSS: Advanced High Strength Steel)

      • 인장강도 1,000MPa 이상
      • 강성 유지 + 무게 절감 가능
      • 충돌 시 에너지 흡수력이 높아, 사고 시 승객 보호성 향상

      📌 주요 적용 부위: A필러, B필러, 센터필러, 서브프레임, 범퍼빔

       

      4-2. 초고인성강(GIGA STEEL)

      • 포스코 개발, 인장강도 1,500MPa 이상
      • 1.5톤의 힘에도 구부러지지 않는 강도 + 연성
      • 전기차, 고성능 스포츠카에 필수

       

      4-3. 마르텐사이트강, 페라이트강, 베이나이트강 조합

      복합조직 제어 기술로 탄성과 인성을 동시에 갖춘 신소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종 금속 접합 기술, 접합 부식 제어, 표면 코팅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5. 전기차와 철강의 관계

      전기차는 배터리 무게가 커서, 차체의 경량화가 중요합니다.
      그렇다고 모든 소재를 알루미늄으로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전기차 프레임은 고강도 철강 + 알루미늄 복합 구조로 제작되며, 배터리 하우징, 모터 가드 등은 여전히 철강이 주류입니다.

      예:

      • 테슬라 모델 3: 고강도강과 알루미늄 혼합 구조
      • 현대 아이오닉5: 초고강도 강판 + 알루미늄 패널

      6. 탄소중립 시대의 철강 대응

      6-1. 전기로(EAF) 방식 확대

      기존의 고로 기반 생산은 막대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만,
      전기로는 고철 재활용 기반의 친환경 방식으로 배출량이 최대 50%까지 감소합니다.

       

      6-2. 수소환원제철 기술

      수소로 철광석을 환원해 CO₂ 대신 H₂O(물)를 배출하는 기술입니다.
      포스코, 현대제철, SSAB 등 글로벌 철강사는 2030~2040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7. 글로벌 주요 자동차 브랜드의 철강 전략

      제조사전략
      포드 AHSS 채택률 30% 이상 확대
      테슬라 맞춤형 강재 설계 및 자동 용접 기술
      현대자동차 고강도 강판 60% 이상 확대, ‘기아 EV9’ 모델 적용
      토요타 초경량화 + 고강도 동시 추구

      8. 철강은 여전히 자동차 산업의 중심

      자동차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철강의 중요성은 줄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철강은 더 강하게, 더 가볍게, 더 스마트하게 진화하며,
      새로운 자동차 시대에도 중심 자재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이나 복합 소재가 특정 영역을 대체하더라도,
      고강도 강판, 스마트 강재, 친환경 제강 기술
      철강이 자동차 산업에서 계속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