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철은 그 자체로도 놀라운 금속이지만, 성분과 구조, 열처리 방식, 제조 방식에 따라 수백 가지의 형태로 진화할 수 있는 재료입니다.
‘철강’이라는 하나의 카테고리 속에도 다양한 성질을 지닌 철이 존재하며, 이는 산업의 목적과 기능에 따라 구조재, 기계 부품, 건축 자재, 수송 장비, 가전제품 등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됩니다.이번 글에서는 철강의 주요 종류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과 대표적인 쓰임새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이 글 하나로 철강에 대한 기본 이해부터 실무적 응용까지 모두 해결할 수 있습니다.용도에 따라 달라지는 철의 세계
1. 철강의 분류 기준
철강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됩니다.
1-1. 탄소 함량에 따른 분류
- 저탄소강 (연강, mild steel): 탄소 함량 0.25% 이하
- 중탄소강: 탄소 함량 0.25% ~ 0.6%
- 고탄소강: 탄소 함량 0.6% 이상
1-2. 용도에 따른 분류
- 구조용 철강
- 기계 구조용 철강
- 공구용 철강
- 스테인리스강
- 특수강 (합금강, 내열강, 내마모강 등)
1-3. 가공 형태에 따른 분류
- 봉강 (round bar)
- 강판 (sheet/plate)
- 형강 (H빔, I빔 등)
- 선재 (wire rod)
- 강관 (pipe/tube)
2. 탄소강(Carbon Steel)
🔹 개요
철강의 기본 형태이며, 철과 탄소의 비율에 따라 기계적 성질이 달라집니다.
🔹 특징
-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이 쉬움
- 내식성은 떨어지나 도금, 도장으로 보완 가능
🔹 용도
- 저탄소강: 자동차 외장, 구조물, 철망
- 중탄소강: 샤프트, 기계 프레임, 기어
- 고탄소강: 공구, 절단날, 스프링, 베어링
3. 합금강(Alloy Steel)
🔹 개요
철과 탄소 외에도 망간, 크롬, 니켈, 몰리브덴, 바나듐 등을 첨가하여 성능을 개선한 철강
🔹 특징
- 고온에서도 강도 유지
- 인성과 경도 조절 가능
🔹 용도
- 크롬합금강: 자동차 부품, 터빈 블레이드
- 니켈합금강: 항공기, 극한 환경용
- 몰리브덴합금강: 고압 용기, 고온 배관
4.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 개요
크롬이 10.5% 이상 포함되어 부식에 강한 특수강
🔹 주요 등급
- SUS 304: 가장 일반적, 부식과 열에 강함
- SUS 316: 내산성 및 내염성 우수 (해양·제약용)
- SUS 430: 저가형, 약한 내식성, 일부 자성 있음
🔹 특징
- 위생적, 미려한 외관
- 고온·고습 환경에서도 내구성 유지
🔹 용도
- 주방용품, 화장실 설비, 병원 기기
- 화학 공장, 해양구조물
5. 공구강(Tool Steel)
🔹 개요
고경도, 고내열성을 가지며 금형, 절삭 공구 제작에 사용
🔹 종류
- 고속도강(HSS): 드릴, 탭, 엔드밀
- 냉간 공구강: 펀치, 다이
- 열간 공구강: 고온 금형, 다이캐스팅
🔹 특징
- 고온에서도 경도 유지
- 열처리에 따라 특성이 다양함
6. 구조용 강재
🔹 개요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사용되는 강재
H형강, I형강, 강판 등🔹 종류
- SS400: 일반 구조용 탄소강
- SM490: 고강도 구조용 강
- SN강: 내진 구조 강재
🔹 용도
- 교량, 고층건물, 지하철 구조물
- 항만, 발전소, 체육관
7. 열간압연강(Hot Rolled Steel)
🔹 개요
고온 상태에서 압연하여 생산, 가공성 우수
🔹 특징
- 표면은 거칠지만 성형성 뛰어남
- 두꺼운 판재 생산에 적합
🔹 용도
- 자동차 프레임
- 산업용 플레이트
- 조선용 판재
8. 냉간압연강(Cold Rolled Steel)
🔹 개요
실온에서 압연하여 표면이 매끄럽고 정밀함
🔹 특징
- 강도와 정밀도가 높음
- 페인트나 코팅에 유리
🔹 용도
- 가전제품 외장
- 자동차 내장재
- 가구 프레임
9. 특수강(Special Steel)
🔹 고내열강
- 고온에서도 형태 유지
- 제철소, 발전소의 터빈, 보일러
🔹 내마모강
- 마찰에 강해 수명 길음
- 포클레인, 불도저 버킷, 광산장비
🔹 내식강
- 산, 염기 환경에 강함
- 화학설비, 해양 구조물
10. 철강의 형태별 제품 종류와 용도 요약
형태설명용도봉강 원형, 사각, 육각 자동차 부품, 샤프트 강판 판재 형태 차체, 가전제품 형강 H빔, I빔 건축 구조물 선재 철사, 스프링 볼트, 와이어 강관 원통형 파이프 배관, 구조재
11. 철강 선택 시 고려사항
- 기계적 성질: 인장강도, 경도, 연성
- 내식성: 실내/실외, 습기 여부
- 가격: 대량 생산 가능 여부
- 가공성: 절단, 용접, 성형 난이도
- 표면 상태: 도장, 도금 전처리
목적에 맞는 철강 선택이 성능을 좌우한다
철강은 하나의 재료가 아니라, 수백 가지 기능성 금속의 총칭입니다.
동일한 철이라도 그 안에 함유된 성분, 처리 방식, 구조에 따라 전혀 다른 특성을 지닙니다.
따라서 철강을 선택할 때는 단순히 가격이나 외관만 볼 것이 아니라, 기능적 요구 조건과 사용 환경을 고려한 세심한 선택이 필요합니다.이번 정리를 통해 여러분이 철강을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지고, 보다 효과적인 소재 선택을 할 수 있길 바랍니다.
'철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강이 기후변화 대응에 미치는 영향 (0) 2025.04.26 철강재, 압연, 열연강판? 철강 산업 핵심 용어 쉽게 이해하기 (0) 2025.04.26 자동차 산업에서 철강이 차지하는 비중과 최신 기술, 가볍지만 강한 철의 진화 (1) 2025.04.24 건축에서 철강이 중요한 이유와 적용 사례: 현대 건축을 지탱하는 강철의 힘 (1) 2025.04.24 스테인리스 vs 일반 철강, 차이점과 쓰임새 완벽 비교 (0)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