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w153002 님의 블로그

철강을 주제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 2025. 4. 17.

    by. pkw153002

    목차

      재활용 철강이란 무엇인가요?

      현대 산업과 일상생활 속에서 철강은 빠질 수 없는 핵심 소재입니다.
      건축물의 뼈대부터 자동차, 전자기기, 주방용품에 이르기까지
      우리 삶의 거의 모든 곳에서 철강 제품을 만날 수 있죠.

      하지만 철강이라고 해서 다 같은 철강은 아닙니다.
      생산 방식과 원료의 차이에 따라 ‘신재 철강’과 ‘재활용 철강’으로 나뉩니다.
      특히 재활용 철강은 기존에 사용했던 철제품을 고철 형태로 수거하고,
      이를 다시 녹여 만든 철강으로, 전기로(EAF, Electric Arc Furnace) 방식으로 생산됩니다.


      1-1. 신재 철강과의 차이점

      신재 철강은 철광석을 고로에서 1,5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제련하여 생산합니다.
      이는 고순도의 철을 얻을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고
      막대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환경적으로 부담스러운 방식입니다.

      반면 재활용 철강은 기존의 철스크랩을 녹이는 방식으로,
      자원 순환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탄소발자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재활용 철강 제품을 구매해야 하는 이유

       

      재활용 철강 제품을 구매해야 하는 이유
      재활용 철강

       

       


      2-1. 탄소배출량 80% 절감 효과

      가장 큰 장점은 단연 탄소배출 저감 효과입니다.
      일반적인 고로 방식으로 철강 1톤을 생산하면 약 1.85톤의 CO₂가 배출되지만,
      재활용 철강은 단 0.37톤만 배출되어, 약 80% 이상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탄소중립 전략에 필수적인 재료로
      재활용 철강은 환경 보호의 핵심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2. 에너지 절감 및 효율성

      철광석을 녹이는 데 드는 열과 석탄, 그리고 여러 공정을 생각해보면
      신재 철강의 생산 과정은 매우 에너지 집약적입니다.

      반면 재활용 철강은 전기로만으로도 생산이 가능하며,
      재생 에너지를 사용할 경우 사실상 ‘탄소제로’ 철강 생산도 가능해집니다.
      이는 친환경 철강 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2-3. 경제적인 장점과 원료비 절감

      신재 철강은 국제 철광석 가격, 석탄 수급 등 외부 요인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큽니다.
      하지만 재활용 철강은 국내 고철을 활용해 생산되므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생산 비용 유지가 가능합니다.

      또한 전기로 방식은 공정이 간단하고, 주문형 생산도 가능해
      소규모, 맞춤형 철강 제품에도 적합합니다.


      재활용 철강 제품이 사용되는 분야


      3-1. 가전제품과 건축자재

      재활용 철강은 내구성과 품질이 뛰어나
      건축용 철근, 창호 자재, 파이프 등의 건설 자재로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등의 가전제품의 프레임이나
      가구용 프레임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3-2. 자동차 및 산업재

      자동차 차체나 프레임, 산업 기계의 부품 등도
      재활용 철강을 사용해 제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전기차 브랜드들도 재활용 철강 사용률을 높이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기업 이미지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친환경 인증과 소비자 선택 기준


      4-1. 탄소중립 마크 확인법

      소비자가 제품의 철강 소재를 직접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최근에는 **‘친환경 인증’**이나 ‘탄소중립 마크’,
      **‘재활용 철 사용 표시’**가 기재된 제품이 많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조금 더 의식 있는 소비를 실천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제품 포장지, 제품 설명서 등에서
      이러한 마크가 있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4-2. 지속 가능한 소비를 위한 팁

      • 제품 설명에 “재활용 철강 사용”이 명시된 제품을 선택하세요
      • 친환경 인증 마크가 부착된 제품을 우선 구매하세요
      • 가전, 철제가구, 건축자재 구입 시 브랜드의 지속 가능성 이슈를 확인하세요
      • 철스크랩을 직접 분리 배출하는 리사이클 실천도 소비자의 몫입니다

      재활용 철강이 이끄는 녹색 미래


      5-1. 순환경제와 철강 산업의 진화

      철강 산업은 현재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를 향해 빠르게 전환하고 있습니다.
      포스코, 현대제철과 같은 국내 철강 기업뿐 아니라
      SSAB, 아르셀로미탈, Nucor 등 글로벌 철강기업도
      전기로 확대, 철스크랩 수입, 수소환원제철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녹색 철강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5-2. 글로벌 기업들의 노력

      스웨덴의 SSAB는 세계 최초 수소환원 철강 상용화를 목표로 움직이고 있으며,
      포스코 역시 전기로 설비를 확장하며 재활용 철강 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환경 문제 대응을 넘어서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기도 합니다.
      결국, 철강의 선택은 지구의 선택이기도 하다는 것을
      소비자도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재활용 철강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단순히 저렴한 철강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환경을 보호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여는 실천적 행동입니다.

      이제는 기업만이 아니라 소비자도 변화를 이끄는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의식 있는 소비로, 탄소중립 시대를 함께 열어가요. 🌿